try n try/reading3 [데벨챌] 그로스 해킹 3주차와 참여 회고 A/B 테스트: 어떤 옵션이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테스트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것 -가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목표수준을 정하는 형태-실험집단/통제집단: 전체 모수 중 실험 조건에 할당되는 사용자를 어떤 기준, 정의로 할당할 것인지 정의-변수들: 독립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샘플 크기, 실험기간 A/B 테스트 결과 분석 검증하고 싶은 것이 A조건의 클릭율이 B조건의 클릭율보다 높다는 가설이다. 통계학에서는 직접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통계학에서는 이런 경우 우선 A조건과 B조건의 클릭율 차이가 없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설을 귀무가설이라고 부른다.) 표본을 추출해 확인해 본 결과, 검정통계량이 매우 극단적인 값이 나왔다. 귀무가설 하에서 이처럼 극단적인 검정통계량이 관찰될 확률(p.. 2024. 11. 24. [데벨챌] 그로스 해킹 2주차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쪼개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심슨 패러독스 : 쪼개진 데이터에서 성립하는 관계가 합쳐진 데이터에서는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푯값인 평균이 최선의 설명을 해주지 못하는 값이 될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할 것데이터가 정규분포에 가까운 경우에는 괜찮으나, 정규분포가 아니거나 이상치가 있는 경우의 평균은 그 데이터를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분석 대상인 데이터에 아웃라이어가 있거나 분포를 알 수 없을 경우 중앙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평균보다 더 안정적이며, 몇 개의 이상치가 있다고 해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푯값을 정하기에 앞서 어떤 분포를 가진 데이터인지는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나?산점도(scatt.. 2024. 11. 17. [데벨첼] 그로스 해킹 1주차 데이터 넥스트레벨 챌린지 4기 참여 동기 취직을 하고 회사를 다니며 '일'이라는 것을 하고 난 이후부터 나는 기술이라는 것이 필요함을 체감했다.그럼 나는 어떤 테크닉을 가진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 생각했을 때, 데이터 분석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아직 파이썬이나 sql 처럼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부족하지만, 데이터 분석으로 뭐할건데? 라는 질문에 대답을 명확히 하지 못하는 내 모습을 보고 난 아직 데이터 분석에 대해서 정말 모른다고 느꼈던 것 같다. 그래서 데이터 넥스트레벨 첼린지를 신청한 것도 있다. 데이터를 가지고 어떤 것들을 하는지,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었다. 앞으로 4주 동안은 책 제목처럼 그로스 해킹이 뭔지 (정말 많이 들었던 단어지만 정확히 뭔지는.. 2024. 11. 10. 이전 1 다음